앞으로 pc98용 게임 한글화에 대한 강좌를 연재할 생각입니다.


그 첫번쨰로...


pc98용 하드 디스크 이미지인 HDI 파일을 임의로 생성해서 초기화 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nex86 에뮬레이터입니다. Neko Project도 이미지 생성 기능이 있지만 일단은 Anex86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빈 hdi를 생성하기 위해 HDD쪽의 이미지생성 버튼을 누릅니다.



디스크 정보 아래에 있는 콤보박스를 누르면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hdi 사이즈가 나옵니다.


이 중에서 골라서 해도 되겠지만 임의의 크기로 만들기 위해 user를 선택합니다.

(Neko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사이즈가 더 다양하지만 임의의 사이즈로 설정하는 기능은 없는 것 같더군요.)



user를 선택하면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활성화가 됩니다.


이 중에서 고쳐야 하는건 트랙 부분입니다. 나머지는 건드릴 필요가 없어요.

(기본 제공하는 사이즈를 기준으로 사이즈를 변경시키는 것이 편리합니다.)


트랙의 값을 변경해서 용량을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트랙 값을 220으로 설정해서 7.3M 정도로 크기를 설정했습니다.


파일 이름을 임의로 a.hdi로 입력합니다.(아무 이름이나 넣어도 무방합니다.)


이 상태에서 생성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 생성이 됩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쓸 수가 없으므로 포멧을 해줘야 합니다.


그러므로 닫기 버튼을 눌러 원래의 창으로 돌아옵니다.



pc98용 도스를 FDD에 삽입해 줍니다.(이곳 자료실에도 올라와 있습니다.)


... 버튼을 눌러서 도스가 들어있는 fdi 파일을 선택해서 삽입해 주면 됩니다.


준비가 되었으면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부팅이 되고 날짜를 물어보는데 무시하고 엔터를 두번 누르면 프롬프트가 나옵니다.


그 상태에서 위와 같이 입력합니다.


format c: /e /s 는 C로 설정된 하드디스크를 포멧(/e)하면서 시스템(/s)까지 넣는다는 의미입니다.



포멧 화면이 나오는데 그냥 엔터를 몇번 쳐줍니다.



그럼, 정말 포멧을 할거냐고 물어보는데 역시 엔터를 쳐줍니다.


그럼, 진행바가 표시되면서 포멧이 됩니다.


그 후에 또 물어보는게 있는데 무시하고 계속 엔터를 쳐주면 포멧이 끝나게 됩니다.



포멧을 마치면 프롬프트 상태로 돌아오는데 이 상태에서는 아직 하드디스크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실행창을 닫고 재부팅을 해줘야 합니다.



초기화면으로 돌아와서 시작 버튼을 누릅니다.



날짜를 물어오는데 무시하고 엔터를 두번 눌러주면 프롬프트 상태가 됩니다.


그 상태에서 dir을 쳐서 디스크 상태를 확인해 봅니다.


이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도스 명령어를 써서 작업을 하거나 아니면 anxdiet나 disk explorer 같은 외부 프로그램을 써서 파일을 hdi 안에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걸 알아두면 fdi 형태로 된 게임들을 hdi로 만들 수 있습니다.



ps.위에 보면 하드디스크가 A로 설정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플로피로 부팅했을 때는 하드디스크가 C로 시작하지만 하드디스크로 부팅하면 A로 시작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하드디스크로 부팅한 뒤에 플로피에 디스크를 넣으면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값이 각각 B와 C가 됩니다.


만약, 하드디스크 2개를 넣은 채로 부팅을 하면 A와 B는 하드디스크가 되고 플로피는 C와 D가 됩니다.


'한글화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자주 쓰이는 도스 명령어 일람  (0) 2012.10.04
#04 대사파일 분석 예제  (0) 2012.09.26
#03 대사파일 분석  (0) 2012.09.17
#02 한글화를 위한 준비와 과정...  (0) 2012.09.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