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98이 PC이고 그 당시에는 도스를 사용했으므로 도스 명령어를 알아두면 여러가지로 유용한 일이 많으므로 몇가지 소개하겠습니다.
1) DIR, COPY, DEL, CD, MD
도스에서 파일 관리할 때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들입니다.
DIR은 현재 경로 또는 지정한 경로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방법은 DIR [옵션] 경로
자주 쓰이는 옵션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W : 한 줄에 4~5개의 파일 단위로 표시합니다.
/P : 파일명만 표시합니다. 파일 목록을 만들 때는 유용.
/A : 숨겨진 속성이나 시스템 속성의 파일까지도 표시하게 합니다.
/S : 하위 디렉토리까지 표시합니다.
COPY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으로 많이 쓰입니다.
사용방법은 COPY [옵션] 경로1 [옵션] 경로2
자주 쓰이는 옵션으로는 /B가 있는데 파일을 바이너리 방식으로 처리한다는 의미입니다.
COPY 명령은 +를 사용해서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병합할 수도 있는데 그때 사용합니다.
특별한 사용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COPY CON 파일명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파일로 복사해서 파일을 생성시켜 줍니다.
키보드 입력을 종료할 때는 ^Z(Ctrl+Z)를 누르고 엔터를 누르면 됩니다.
COPY 파일명 CON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시켜 줍니다.
DEL은 파일을 지우는 기능입니다.
CD는 경로를 이동시켜 주는 기능으로 드라이브를 바꿀 때는 CD를 사용하지 않고 A: B: C: 등으로 드라이브명을 입력하면 됩니다.
MD는 디렉토리를 생성시켜 주는 기능입니다.
2) FORMAT
말 그대로 디스크를 포멧시켜주는 기능입니다. 여기서는 FDI, HDI 등의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포멧시키는 용도로 쓰이게 됩니다만...
사용방법은 FORMAT 드라이브명 [옵션]
자주 쓰이는 옵션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E : 하드디스크를 포멧할 때 사용됩니다.
/S : 포멧 후에 시스템을 인스톨 시킵니다.
3) ECHO
ECHO는 메세지를 표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명령 프롬프트에서 보다는 배치파일에서 많이 쓰입니다.
ECHO on과 ECHO OFF를 통해서 배치파일 상에서 명령어 입력 내용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ECHO OFF라는 명령어를 사용한 것 자체를 표시하고 싶지 않을 경우는 @ECHO OFF 와 같이 쓸 수 있고 개별 명령어마다 @를 앞에 붙이면 해당 명령어 입력이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4) 리다이렉션
각종 명령어 실행시의 출력내용을 특정한 장치로 보내는 기능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간단한 예를 들자면...
DIR > A.TXT
DIR의 출력 내용을 A.TXT로 보냅니다.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기존 파일에 출력 내용을 덮어 씁니다.
DIR >> A.TXT
DIR의 출력 내용을 A.TXT로 보내되 A.TXT가 이미 존재할 경우 원래 내용의 뒤에다 출력 내요을 추가시킵니다.
5) 자동실행 디스크 만들기
FDI의 경우는 보통 자동실행이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관계없지만 HDI의 경우는 자동적으로 게임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럴경우 해당 HDI의 루트 디렉토리에 AUTOEXEC.BAT를 작성해 주어야 합니다.
방법은 간단하게 COPY CON을 이용해서 프롬프트상에서 작성해 줄 수도 있지만, 외부에서 메모장 등으로 작성한 후 disk explorer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집어 넣어주면 됩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지요. ELLE이란 게임의 autoexec.bat 파일 내용입니다.
[AUTOEXEC.BAT]
set prompt=$P$G
echo off
cls
type readme.txt
echo This is an adult game, you must have over 18 years to play it.
echo press a key to continue
pause
cd elle
call elle.bat
cd ..
중요한 것만 살펴보면 cd elle로 elle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elle.bat를 실행시킵니다.
이게 전부입니다.
그 밖에, 메모리 부족으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를 위해서 CONFIG.SYS를 작성해 줍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CONFIG.SYS]
device=himem.sys
dos=high,umb
himem.sys는 XMS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드라이버입니다.
dos=high,umb는 도스가 차지하는 영역을 하이메모리로 올려서 기본 메모리를 확보하기 위한 명령입니다.
himem.sys의 경우는 HDI 형태로 된 자동실행이 되는 게임들의 HDI 파일을 열어보면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그걸 가져다 쓰면 됩니다.
6) 그 밖에...
disk explorer 등으로 열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FDI 형태로 된 것들인데 이것들은 자체 프로텍트가 걸려 있으므로 에뮬상에서 실행한 후에 열 수도 있고, 그게 안될 경우는 포기하면 편합니다.
ELF사 게임의 경우는 인스톨 실행파일이 들어있는 디스크를 제외하면 에뮬상에서도 디스크 내용을 볼 수 없으며 인스톨 시에는 각 디스크마다 읽기전용 체크를 해주지 않으면 인스톨이 되지 않습니다.
(읽기전용 체크는 에뮬상에서 FDI 파일을 넣을 시에 읽기전용으로 열기를 체크해 주면 됩니다.)
하드디스크 인스톨을 지원하지 않는 게임의 경우는 어떤 방법으로도 디스크 내용을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경우는 역시 포기하면 편해집니다.
pc98 게임에 관한 정보를 찾아보고 싶다면 http://pc98library.tistory.com 이란 곳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가끔가다 FDI나 HDI가 아닌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경우는 vfic란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fdi로 변환해줄 수 있습니다. 이 유틸은 검색을 통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예 디스크 이미지 형태가 아닌 경우도 존재합니다.
이 경우는 지금까지 언급한 내용들을 활용해서 HDI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시스템까지 넣어줘야 부팅이 됩니다.) disk explorer 등으로 집어넣어준 후에 autoexec.bat를 작성해 주면 됩니다.
'한글화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 대사파일 분석 예제 (0) | 2012.09.26 |
---|---|
#03 대사파일 분석 (0) | 2012.09.17 |
#02 한글화를 위한 준비와 과정... (0) | 2012.09.11 |
#01 HDI 파일을 생성해보자. (2) | 2012.09.10 |